셔터스피드 정복하기 / 초보 사진 강좌

C.S

개요

이번 강좌에선 셔터스피드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조리개, ISO와 더불어서 노출의 3요소로 불리고 있는 셔터스피드, 말 그대로 셔터(센서 앞에 있는 빛 가림막)가 열리고 닫히기까지의 속도를 의미합니다. 셔터스피드를 이해하려면 노출에 대한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매우 도움이 되니, 노출의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 두고 이 글을 읽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셔터스피드 정의

셔터스피드, 말 그대로 셔터의 스피드, 속도를 의미합니다. 사진이 찍히는 필름 역할을 담담하는 카메라의 센서 바로 앞에는 셔터가 위치해 있어요. 마치 사람들이 사용하는 안대처럼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순간적으로 이 셔터가 열리면서 빛이 렌즈, 조리개를 통과해 센서에 맺히게 됩니다. 그 후 세팅된 셔터스피드 만큼의 시간동안 셔터가 열렸다가 닫히면서 빛을 다시 센서에 닿지 않게 차단 시킵니다. 보통 이 속도는 짧게는 1을 8000으로 나눈 만큼의 초 까지 세팅이 가능하고, 길게는 30초 혹은 몇십분가량 강제로 열어 놓을 수도 있습니다.

셔터스피드의 수치 (구간) 이해하기

셔터스피드

셔터스피드는 ISO나 조리개에 비해 꽤나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어요. 범위가 넓은 만큼 저는 평소 조리개와 ISO를 먼저 세팅한 후에 셔터스피드를 세팅하는 편입니다. 저는 M모드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그렇지만, A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밤중 촬영이 아닌 이상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초보자 분들은 셔터스피드 모드인 S모드를 사용하는 것 보단, A모드로 조리개를 설정한 후, 알아서 카메라가 셔터스피드를 세팅해 준 값으로 촬영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셔터스피드, 손떨림과의 관계

셔터스피드를 세팅할 때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은 바로 ‘손떨림 방지’입니다. 셔터스피드만큼의 시간동안 셔터가 열리면서 빛이 센서에 맺히는 그 순간에도, 카메라를 쥐고 있는 우리의 손은 흔들릴 수 밖에 없어요. 아무리 숨을 참고 촬영한다고 해도 셔터스피드가 많이 느리면 사진이 흔들리게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적당히 빠른 셔터스피드 확보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해요. 빛이 너무 많아서 탈인 대낮에는 셔터스피드가 매우 잘 확보되어 상관이 없지만, 빛이 부족한 밤거리나 실내 공간에서 촬영할 때에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1. 손떨림은 셔터스피드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러 셔터스피드 자체를 세팅해서 특이하게 표현하는 사진이 아닌 일상 사진에선 셔터스피드는 손떨림과 가장 밀접한 관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대체 어떤 셔터스피드가 빠른건지, 혹은 느린건지를 판단해야 할까요? 촬영 할 때마다 사진을 리뷰하면서 손이 떨리지 않았는지를 체크해야 하겠지만, 한장한장 리뷰를 하기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릴거에요.

2. 최소한 셔터스피드는 1/화각 mm x 1.5로 세팅하기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1/(카메라에 장착된 렌즈의 화각) x1.5 이상의 셔터스피드가 나올 때 까지 ISO를 올려주거나 조리개를 최대한 여는 거에요. 예를 들어 24mm의 광각 렌즈라면 24×1.5= 36이니, 1/36과 가장 근접한 셔터스피드로 세팅해주면 됩니다. 즉 24mm의 화각은 최소한 1/30초나 1/60초 만큼의 셔터스피드를 확보해야 사진이 안흔들리게 촬영할 수 있다는 의미에요.

만약 70mm의 화각이라면 어떻게 계산할까요? 70×1.5=105가 나오므로 대략 1/125초가 손이 떨리지 않는 최소한의 셔터스피드라고 계산할 수 있겠네요. 광각일수록 느린 셔터스피드에서도 최대한 손떨림을 억제할 수 있지만 반대로 망원에서는 셔터스피드가 조금만 느려도 손이 떨리게 되니, 이점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특별한 사진을 위한 셔터스피드 세팅

셔터스피드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특이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찰나의 순간을 담는 빠른 셔터스피드보다, 5초, 10초 등 긴 셔터스피드를 사용하는 사진들에서 특이한 촬영이 가능해요. 조리개와 관련된 강좌에서도 설명을 했었지만, 조리개가 사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 처럼 셔터스피드 역시 꽤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셔터스피드

1. 패닝샷

자동차나 오토바이는 사진 속에 고정되어 있는데 배경은 마치 분리된 것 처럼 흐린 사진, 인터넷에서 본 적이 있으실거에요. 이 사진 안에는 피사체를 동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되는 ‘패닝샷’ 기법이 녹아들어 있습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아요.

  1. 셔터스피드는 1/30초 정도로 세팅
  2. 찍고자 하는 피사체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자동차, 기차 등에서 촬영 준비하기
  3. 숨을 참고, 최대한 흔들리지 않게 피사체를 촬영하기
  4. 촬영 후 결과 확인하기 (움직이고 있는 나의 탈것 속도 = 피사체의 속도 전제 필요)

적당히 느린 셔터스피드로, 동일하게 움직이고 있을 때 촬영하면 위처럼 멋진 사진을 건질 수 있습니다. 만약 탈것이 없다면 피사체가 내 앞을 지나갈 때 셔터스피드 만큼의 시간동안 마치 저격을 하듯이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촬영해야 해요. 조금이라도 타이밍이 늦어버리면 카메라가 피사체를 따라가질 못해서 배경처럼 흐리게 촬영됩니다. 때문에 패닝샷은 같이 동일한 속도로 달리는 탈것에서 촬영하는게 훨씬 찍기 편해요.

셔터스피드

2. 장노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셔터스피드 기법은 장노출입니다. 긴 노출을 통해 그 동안의 반사되는 빛을 받으며 물체가 움직이는 과정을 흐릿하게 담아 정적으로, 혹은 동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에요. 장노출은 손으로 들고 촬영하는 게 아니라, 반드시 삼각대를 장착하여 촬영해야 합니다.

위의 사진은 제가 이탈리아 피렌체를 여행하면서 촬영했던 사진입니다. 광장에 있는 많은 사람들을 흐릿하게 동적인 느낌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보고 싶었어요. 삼각대를 설치한 다음, 약간 느린 5초 가량의 셔터스피드를 세팅하고, 적정 노출을 맞춘 다음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5초간의 셔터스피드라는 시간동안 멀리 있는 동상들은 당연히 가만히 멈춰 있는 상태였지만 광장의 수많은 사람들은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피사체에 반사된 빛이 계속해서 움직이며 위와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었어요. 패닝샷과 약간 반대되는 개념이지만 이렇게 사람들을 흐릿하게 하는 것이 패닝샷에 비해 더욱 쉬울거에요.

1. 파도 사진

끊임없이 움직이는 피사체를 장노출로 담으면 어떤 모습이 될까요? 위 사진은 속초에서 촬영한 바다의 장노출 사진입니다. 바람이 좀 불어서 거칠게 몰아치는 파도에 약 10초의 긴 셔터스피드를 세팅해서 촬영한 사진이에요. 원래는 파도의 거친 물방울, 거품이 나와야 하지만 이 거품들이 계속해서 움직이면서 흐릿하게 촬영이 되었습니다.

해가 뜨기 직전에 촬영했기 때문에 별도로 ND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위와 같이 촬영할 수 있었어요. 해가 떠버리거나 대낮에 위와 같은 촬영을 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대낮에는 지나치게 긴 셔터스피드를 상쇄시키기 위해 조리개를 많이 조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 회절 현상으로 인해 사진 화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큽니다.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ND필터를 구매해서 장착시켜줘야 해요. 쉽게 말해 사람들이 사용하는 선글라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필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도심의 야경

이런 장노출은 도심의 야경에서도 빛을 발하게 됩니다. 차가 매우 많이 다니는 도심을 장노출로 촬영하게 되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가 궤적을 그리며 예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어요. 사진으로 봐도 길게 끈처럼 이어져 있는 불빛들을 볼 수 있죠? 이 사진에선 30초라는 매우 긴 셔터스피드를 사용하였습니다. anffh

3. 밤하늘 별 & 은하수

장노출을 연습하다 보면 어느 순간 별사진 촬영에 매우 꽂히게 될거에요. 최대한 도심 야경을 이용하여 장노출을 연습한 다음, 별이 잘 보이는 장소로 이동해보세요. 물론 구름이 끼지 않고 미세먼지가 없는 등 날씨 조건이 갖춰지고,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시골이어야 별이 잘 보입니다. 위 사진은 15초의 셔터스피드, 그리고 1600의 ISO를 이용하여 촬영했어요. 워낙 빛이 없는 곳이다 보니 오히려 ISO를 적당히 올려줘야 위와 같이 별에서 반사된 빛을 카메라에 담을 수 있습니다.

사진의 질이 달라지게 되는 셔터스피드

이처럼 셔터스피드는 조리개처럼 사진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특히 장노출을 활용하게 되면 우리가 그동안 핸드폰 카메라로 찍던 밋밋한 사진들에서 벗어나 나만의 사진을 찍을 수 있어요. 초보자 분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셔터스피드 이지만, 한번 이해하고 나면 응용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무궁무진 하답니다. 꼭 셔터스피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먼저 이해하시고 노출 연습을 계속해서 해보세요.

국내 여행 관련 글

해외 여행 관련 글

사진 관련 글

캠핑 관련 글

다양한 제품 리뷰

조촌부부 유튜브 채널